본문 바로가기

무인매장

무인 매장 민원 급증, 국민권익위 '민원주의보' 발령

무인 매장 민원 급증, 국민권익위 '민원주의보' 발령

2025년 4월 30일, 국민권익위원회는 무인 매장 관련 민원이 급증하고 있다며 '민원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물품 절도, 식품 위생 불만, 시설 관리 문제 등 다양한 민원이 증가하며 관계기관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무인 매장 민원의 현황과 국민권익위의 대응 방안을 살펴보겠습니다.

민원 급증의 배경

국민권익위가 2022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 3년간 민원정보분석시스템에서 수집한 2,748건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무인 매장 관련 민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 월평균 민원은 103건으로, 2022년에 비해 1.91배 증가했습니다. 주요 민원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물품 절도 및 파손 신고: 무인 매장의 특성상 관리 인력이 없어 절도와 기물 파손이 빈번.
  • 식품 위생 불만: 무인 판매점의 식품 관리 소홀로 인한 위생 문제 제기.
  • 시설 관련 불편: 기기 고장, 환경 관리 부족 등으로 인한 생활 불편.

국민권익위의 대응

이에 따라 국민권익위는 '민원주의보'를 발령하고 관계기관에 다음과 같은 개선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1. 범죄 예방 대책 마련: CCTV 설치 강화, 보안 시스템 도입 등 절도 예방 조치.
  2. 위생관리 강화: 식품 취급 무인 매장의 정기 점검 및 위생 기준 준수.
  3. 시설 관리 내실화: 기기 유지보수, 환경 관리 체계 구축.

또한, 국민권익위는 민원 동향을 분석한 '국민의 소리' 자료를 정기적으로 공개하며, 누구나 쉽게 민원 빅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눈에 보는 민원 빅데이터(bigdata.epeople.go.kr)' 누리집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월 민원 빅데이터 동향

국민권익위는 2025년 3월 민원 동향도 함께 발표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민원: 119만 건(2월 대비 21.8% 증가, 전년 동기 대비 2.3% 감소).
  • 지역별: 광주광역시 민원 45.0% 증가(불법 주정차 신고 중심).
  • 기관별:
    • 중앙행정기관: 산림청 민원 52.1% 증가(산불 예방 관련).
    • 지방자치단체: 경북 영양군 민원 161.4% 증가(미얀마 난민 수용 정책 반대).
    • 교육청: 인천시교육청 민원 106.6% 증가(늘봄교실 운영 관련).
    • 공공기관: 한국토지주택공사 민원 1만 5,892건(경기도 보행로 확보 요구 중심).

무인 매장 이용 시 주의사항

무인 매장의 편리함 이면에는 관리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존재합니다. 소비자는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합니다:

  • 물품 구매 시 확인: 결제 오류나 기기 이상 여부를 즉시 확인.
  • 위생 점검: 식품 구매 전 유통기한, 보관 상태 확인.
  • 문제 발생 시 신고: 민원 발생 시 국민권익위 민원정보분석과(044-200-7330)로 문의.

마무리

무인 매장은 현대인의 편의를 높여주는 시설이지만, 절도와 위생 문제로 민원이 급증하며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국민권익위의 민원주의보와 대책 마련이 무인 매장의 신뢰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합니다. 앞으로도 관련 동향을 지속적으로 공유하겠습니다.

문의: 국민권익위원회 민원정보분석과(044-200-7330)

주요<자료출처=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