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승호 『돈의 속성』10분 리뷰
“돈이란, 그 자체로 성격이 있고 규칙이 있다.”
돈을 다룬다는 것은 숫자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삶의 질서를 이해하는 일이다.
김승호 작가의 『돈의 속성』은 그 점에서, 단순한 재테크 책이 아니다.
이 책은 돈을 하나의 ‘속성 있는 존재’로 다루며, 돈과 인간 사이의 심리적 거리를 좁혀준다.
📖 돈을 인격처럼 다룬 책
김승호 회장은 책에서 돈을 일종의 **‘살아 있는 존재’**처럼 묘사한다.
“돈은 나를 싫어하면 떠난다.”
“돈은 준비된 사람에게만 자신을 맡긴다.”
이러한 표현은 추상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읽다 보면 점점 고개를 끄덕이게 만든다.
돈에 대한 우리의 태도가 어떻게 현실의 부(富)를 결정짓는지를 직접적이고 현실감 있게 풀어낸다.
🧠 핵심 메시지, 세 갈래 시선
- 돈은 본질적으로 자유다
- 돈을 많이 벌고 싶은 게 아니라, 원하는 방식으로 살고 싶다는 욕망이 본질이다.
- 돈은 감정에 민감하다
- 조급함, 두려움, 탐욕. 이런 감정은 돈을 쫓게 만들고, 결국 돈을 놓치게 만든다.
- 돈은 사고방식에 반응한다
- ‘가진 자’의 사고를 갖기 전에는, 실제로 가지게 될 수 없다.
사고방식의 전환이 먼저다.
- ‘가진 자’의 사고를 갖기 전에는, 실제로 가지게 될 수 없다.
✍️ 밑줄 그은 문장들
“가난은 선택이고, 부도 선택이다.”
“돈은 절대로 비합리적인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다.”
“지금 가진 것을 잘 다루는 사람이 다음 기회를 얻는다.”
이 문장들을 곱씹으며, 돈을 대하는 내 태도는 과연 합리적인가, 신뢰할 만한가를 되묻게 되었다.
책은 독자에게 스스로 돈의 파트너가 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묻는다.
🧩 생각보다 깊고 묵직한 자기 성찰
『돈의 속성』은 얇지만 결코 가볍지 않다.
한 장 한 장이 거의 돈에 대한 인생 철학의 응축처럼 다가온다.
특히, 사업가로서 직접 부를 경험한 저자의 이야기는 현장감과 설득력을 더한다.
이 책을 통해 돈은 단순한 수단이 아니라, 삶의 태도를 비추는 거울임을 느꼈다.
✅ 실천해볼 DO 3가지
- 소비 전 ‘이 돈이 정말 나를 도와주는가’ 질문하기
- 월 1회 재정 진단일 지정 후 점검하기
- ‘돈은 내가 다룰 수 있는 존재다’라는 문장을 매일 아침 되새기기. 끝.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런 버핏의 투자 철학을 여는 열쇠(제1장 요약) (2) | 2025.05.11 |
---|---|
대한민국 돈의 역사 (2) | 2025.05.09 |
김새해 『돈의 그릇』10분 리뷰 (1) | 2025.05.06 |
트럼프 시대의 지정학과 비트고인 (2) | 2025.05.05 |
"마음의 기술" 리뷰 (0) | 2025.05.05 |